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🌊 해양에서 가장 깊은 지점은 마리아나 해구가 아니다?

반응형

🌊 해양에서 가장 깊은 지점은 마리아나 해구가 아니다?

– ‘가장 깊은 바다’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

 

🌊 해양에서 가장 깊은 지점은 마리아나 해구가 아니다?

 

📍 마리아나 해구, 정말 가장 깊을까?

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**‘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’**는 대부분 **마리아나 해구(Mariana Trench)**라고 대답합니다.
특히 그 안에 위치한 **챌린저 심연(Challenger Deep)**은 지구상에서 인간이 확인한 가장 깊은 해양 지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그러나 최근 들어 일부 과학자들과 심해 탐사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“마리아나 해구보다 더 깊은 곳이 존재할 수도 있다”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그 이유는 무엇이며, 우리는 정말로 지구 바다의 모든 곳을 알고 있는 걸까요?

 

🌐 챌린저 심연, 어디까지 확인되었나?

챌린저 심연은 마리아나 해구 남서단에 위치하며,
지금까지 측정된 깊이는 약 10,984m ±10m로 알려져 있습니다.

  • 최초 탐사는 1875년 HMS 챌린저호
  • 1960년 자크 피카르와 돈 월시가 탄 **트리에스테호(잠수정)**의 직접 탐사
  • 2012년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단독 잠수
  • 최근엔 여러 무인 잠수정(AUV)과 음파측심기술이 보완

하지만 이 수치는 완벽한 수치가 아니며,
기술적 제약, 지형 변화, 측정 방식의 한계로 인해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.

 

🧭 다른 ‘후보 지역’들도 존재한다?

최근의 해양 탐사와 위성 기반 지형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,
지구 해저에는 아직 정밀 탐사가 이뤄지지 않은 깊은 곳들이 다수 존재합니다.

✅ 예시 1: 케르마데크 해구(Kermadec Trench)

  • 뉴질랜드 북동쪽에 위치
  • 최대 깊이 약 10,047m로 측정된 바 있음
  • 지질학적으로 매우 활발한 활동이 있는 해역

✅ 예시 2: 퉁가 해구(Tonga Trench)

  • 남태평양에 위치
  • 일부 구간에서 10,800m에 근접한 깊이 측정 보고도 있으나,
    아직 공신력 있는 반복 측정이 부족

✅ 예시 3: 자바 해구(Java Trench 또는 Sunda Trench)

  • 인도네시아 인근
  • 최대 깊이 약 7,725m로 마리아나보다 얕지만, 단층 활동과 지형 변화 가능성 있음

즉, 마리아나 해구가 여전히 가장 깊은 ‘기록상’의 장소이긴 하지만,
우리는 여전히 ‘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바다의 미스터리’를 갖고 있는 셈입니다.

 

🌍 왜 이런 논란이 계속될까?

1. 측정 방식의 차이

  • 위성 레이더 기반 간접 측정 (해수면 높이 분석 기반)
  • 음파 탐지(Sonar) 방식
  • 실질적인 심해 탐사 (무인 잠수정, 탐사선)

각 방식의 오차 범위와 해상도가 다르기 때문에,
몇 m 차이를 놓고 논쟁이 계속될 수밖에 없음.

2. 지형의 지속적인 변화

지각 판의 충돌로 인해 심해 해구는 시간에 따라 깊이와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음.
예를 들어, 판 경계가 활성화된 지역은 수십 년 사이에 미세한 지각 이동이 발생.

3. 탐사 기술의 한계

지금까지 지구 해양의 80% 이상이 정밀 탐사되지 않았다는 사실!
지구 표면 중 가장 미지의 영역이 바로 바닷속이며,
심해는 화성보다도 더 탐사 정보가 부족한 장소로 꼽힐 정도다.

 

 

🚢 미래의 탐사와 과학의 진보

2020년대 이후, 민간 기업과 국가 주도의 해양 탐사가 활발해지면서
우리는 점점 더 많은 정확한 해저 지형 정보를 확보하고 있습니다.

대표적 사례:

  • 미국 NOAA의 Okeanos Explorer
  • 일본의 JAMSTEC(해양지구과학기술센터)
  • 민간기업 Caladan Oceanic의 심해 5대양 탐사 프로젝트

이러한 탐사는 단순한 수심 측정에 그치지 않고,
심해 생물, 지질구조, 심해 자원까지 파악함으로써
해양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.

 

✅ 요약하면…

  • **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저 심연(10,984m)**은 현재 기준 가장 깊은 해양 지점
  • 그러나 다른 해구들에서도 유사한 깊이가 측정된 바 있음
  • 기술적 한계, 해저 변화, 측정 방식의 차이로 인해 논쟁 지속
  • 지구 해양의 80% 이상이 아직 미탐사 상태
  • 앞으로의 심해 탐사로 인해 기록이 바뀔 가능성도 존재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