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🌊 엘니뇨와 라니냐가 한반도 기후에 미치는 영향

금융 지식 알리미 친구 2025. 7. 30. 02:52
반응형

🌊 엘니뇨와 라니냐가 한반도 기후에 미치는 영향

— 남태평양의 수온이 한국 날씨를 좌우한다

 

🌊 엘니뇨와 라니냐가 한반도 기후에 미치는 영향

 

 

우리가 여름 장마가 길어졌다고 느끼거나, 겨울 한파가 심해졌다고 체감할 때,

그 배후에는 어쩌면 수천 km 떨어진 적도 태평양의 수온 변화가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.
이 변화는 ‘엘니뇨(El Niño)’와 ‘라니냐(La Niña)’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지구 최대 규모의 해양-대기 상호작용 현상이며,
한반도의 계절별 기후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.

 

🌐 엘니뇨 & 라니냐란 무엇인가?

엘니뇨와 라니냐는 적도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변화로 인해 지구 전역의 대기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입니다.
이 둘은 서로 반대되는 기후 양상으로 작용합니다.

  • 엘니뇨 (El Niño):
    동태평양 (페루 해안 인근)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현상
    → 대기 순환 약화, 무역풍 감소, 전 지구적 이상기후 유발
  • 라니냐 (La Niña):
    같은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
    → 대기 순환 강화, 무역풍 강화, 전 지구적 냉해·폭우 증가

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해양의 문제를 넘어, 제트기류, 강수대, 태풍 경로, 기압계 배치를 바꾸며
아시아와 한반도 기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.

 

🇰🇷 한반도는 왜 영향을 받는가?

한반도는 대기 흐름의 변곡점에 위치한 중위도 지역입니다.
적도에서 출발한 에너지와 수증기는 제트기류를 통해 중위도로 이동하며,

엘니뇨·라니냐는 이 흐름을 교란 또는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.

그 결과,

  • 여름철 장마 시기 및 강도,
  • 겨울철 기온 변화,
  • 태풍 발생 및 북상 경로,
    등에서 뚜렷한 이상 패턴이 나타나게 됩니다.

 

🌞 엘니뇨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

엘니뇨는 일반적으로 겨울을 따뜻하고 건조하게, 여름을 덥고 습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.

▷ 여름: 고온다습, 국지성 호우 증가

  • 북태평양 고기압이 한반도까지 북상
  • 장마 시기 길어지고 집중호우 가능성 증가
  • 태풍 발생은 많지만 북상은 제한적

▷ 겨울: 따뜻하고 건조한 겨울

  • 시베리아 고기압이 약화
  • 한파 일수 감소
  • 눈 적고 미세먼지 확산 위험 ↑

📌 최근 사례:
2015~2016년 슈퍼 엘니뇨 당시
→ 한반도 겨울 평균기온 평년 대비 +2.4도
→ 전국적으로 기록적인 가을 가뭄

 

❄️ 라니냐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

라니냐는 일반적으로 겨울을 춥고 눈 많게, 여름을 덜 덥게 만들 수 있습니다.

▷ 여름: 장마 단기 집중, 태풍 북상 ↑

  • 북태평양 고기압이 동쪽으로 치우쳐
  • 장마 기간은 짧지만 강우량은 국지적 폭우로 증가
  • 태풍 북상 경로가 한반도로 집중될 위험 ↑

▷ 겨울: 강한 한파와 폭설

  • 시베리아 고기압이 강화
  • 북극 한기의 남하 빈도 증가
  • 서해안 중심 폭설 가능성↑

📌 최근 사례:
2020~2021년 라니냐 당시
→ 1월 서울 최저 -18.6도 기록
→ 전국적인 강한 한파와 잦은 눈폭탄

 

🔁 엘니뇨·라니냐의 반복 주기

 

이 두 현상은 2~7년 주기로 번갈아 나타나며, 하나의 상태는 평균 9~12개월 지속됩니다.
때로는 중립 상태(ENSO Neutral)도 존재하지만, 그 빈도와 강도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점차 변화 중입니다.

최근에는 “엘니뇨는 점점 강해지고, 라니냐는 빈도와 지속 기간이 증가하는 경향”을 보이고 있어
한국의 극단적 기상현상도 더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.


📊 마무리 요약

구분엘니뇨라니냐
여름 덥고 습함, 장마 길고 강함 짧은 장마, 국지성 폭우
겨울 온화하고 건조함 강추위, 폭설 증가
태풍 발생 많지만 북상 적음 적게 발생하지만 경로는 한반도 쪽
기후 위험 가뭄·열파·미세먼지 한파·폭설·침수 피해
 
반응형